728x90
🍉 2022년 1회 3번
출력 결과
class A {
int a;
int b;
}
public class Test {
static void func1(A m) {
m.a *= 10;
}
static void func2(A m) {
m.a += m.b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A m = new A();
m.a = 100;
func1(m);
m.b = m.a;
func2(m);
System.out.printf("%d", m.a);
}
}
더보기
답 : 2000
쉽다. 이런 문제에서 틀리면 안 된다.
🍉 2022년 1회 11번
빈 칸
class Car implements Runnable {
int a;
public void run() {
//...
}
}
public class 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Thread t1 = new Thread(new _____());
t1.start();
}
}
더보기
답 : Car
스레드 관련 문제이다.
스레드(Thread)란,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하며, 여러 스레드를 사용할 수 있다.
스레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Runn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다.
스레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new 뒤에 Runn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스레드 클래스를 선언해준다.
🍉 2022년 2회 7번
출력 결과
public class 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i = 3;
int k = 1;
switch(i) {
case 1:
k ++;
case 2:
k -= 3;
case 3:
k = 0;
case 4:
k += 3;
case 5:
k -= 10;
default:
k--;
}
System.out.printf("%d", k);
}
}
더보기
답 : -8
switch-case 문제이다.
break문의 유무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.
🍉 2022년 2회 7번
출력 결과
public class Test {
int a;
public Test(int a) {
this.a = a;
}
int func() {
int b = 1;
for(int i = 1;i < a;i++) {
b = a * i + b;
}
return a + b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Test obj = new Test(3);
obj.a = 5;
int b = obj.func();
System.out.print(obj.a + b);
}
}
더보기
답 : 61
i = 1일 때, b = 5 * 1 + 1 = 6
i = 2일 때, b = 5 * 2 + 6 = 16
i = 3일 때, b = 5 * 3 + 16 = 31
i = 4일 때, b = 5 * 4 + 31 = 51
a + b = 5 + 56
obj.a + b = 5 + 61
계산 실수를 유의하며 풀자.
🍉 2022년 3회 4번
출력 결과
class 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 result = new int[5];
int[] arr = {79, 34, 10, 99, 50};
for(int i = 0;i < 5;i++) {
result[i] = 1;
for(int j = 0;j < 5;j++) {
if(arr[i] < arr[j]) {
result[i]++;
}
}
}
for(int k = 0;k < 5;k++) {
System.out.print(result[k]);
}
}
}
더보기
답 : 24513
반복문 문제이다.
전체적으로 보면 arr 배열 요소들의 값들이 각각 몇 번째로 큰지 출력하는 문제로 보인다.
다만 혹시 모르니 계산 및 검산은 다 해주자.
🍉 2022년 3회 19번
출력 결과
public class Test {
static int[] makeArray() {
int[] tempArr = new int[4];
for(int i = 0;i < tempArr.length;i++) {
tempArr[i] = i;
}
return tempArr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 intArr;
intArr = makeArray();
for(int i = 0;i < intArr.length;i++) {
System.out.print(intArr[i]);
}
}
}
더보기
답 : 0123
🍉 2022년 3회 20번
출력 결과
public class 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a = 0;
for(int i = 1;i < 999;i++) {
if(i % 3 == 0 && i % 2 != 0) {
a = i;
}
}
System.out.print(a);
}
}
더보기
답 : 993
if(i % 3 == 0 && i % 2 != 0) 조건문은 i가 3의 배수이자 홀수인 조건이다.
따라서 3의 배수 중에서 999보다 작고 홀수인 값은 993이다.
반응형
'정보처리기사 > 기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] 기출문제_C언어 (2021년 실기) (0) | 2024.04.18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] 기출문제_C언어 (2020년 실기) (0) | 2024.04.18 |
[정보처리기사] 기출문제_JAVA (2023년 실기) (0) | 2024.04.17 |
[정보처리기사] 기출문제_JAVA (2021년 실기) (0) | 2024.04.17 |
[정보처리기사] 기출문제_JAVA (2020년 실기) (0) | 2024.04.17 |